Jin's IT Story
자바 입문자를 위한 캡슐화 완전 정복 본문
목차
자바를 처음 배우는 입문자들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객체지향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캡슐화(Encapsulation)입니다. 캡슐화는 변수와 메서드를 하나로 묶고, 외부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핵심 설계 원칙입니다.
이 글에서는 자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캡슐화의 개념, 코드 작성 방법, 그리고 캡슐화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이유까지 쉽게 설명합니다.
캡슐화란? 자바에서 왜 중요한가
데이터 보호와 객체 중심 설계의 시작
캡슐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의 기본 원칙 중 하나로, 객체 내부의 데이터를 숨기고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게 만드는 개념입니다. 자바에서는 변수(필드)를 private
으로 선언하고, 외부에서는 getter
와 setter
메서드를 통해 값을 읽거나 변경하게 합니다.
public class Studen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if (name != null && !name.isEmpty()) {
this.name = name;
}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if (age >= 0) {
this.age = age;
}
}
}
이처럼 외부에서 객체의 상태를 간접적으로만 변경할 수 있게 하여, 객체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잘못된 데이터로 인한 오류를 예방합니다.
캡슐화를 구현하는 자바 문법 구조
접근 제어자 + getter/setter 패턴
자바에서 캡슐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합니다:
- 접근 제어자 사용:
private
은 해당 필드나 메서드를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게 만듭니다. - Getter/Setter 메서드 생성:
public
으로 선언된 메서드를 통해 외부에서 값을 가져오거나 설정할 수 있게 합니다.
public class Book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int price;
public String getTitle() {
return title;
}
public void setTitle(String title) {
if (!title.isBlank()) {
this.title = title;
}
}
public int getPrice() {
return price;
}
public void setPrice(int price) {
if (price >= 0) {
this.price = price;
}
}
}
캡슐화 관련 키워드 정리:
- private: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 public: 외부 접근 허용
- getter: 값을 가져오는 메서드
- setter: 값을 설정하는 메서드
- this: 현재 객체를 참조하는 키워드
자바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캡슐화의 장점
코드 안전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자바 초보자가 캡슐화를 반드시 익혀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문법 때문이 아닙니다. 실무에서 캡슐화는 코드의 품질과 유지보수의 효율을 좌우하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캡슐화를 사용하면 얻는 장점:
- 데이터 보호
- 내부 변경 유연성
- 디버깅 용이성
- 객체지향 설계 원칙 준수
- 읽기 전용 필드 제공 가능
public class User {
private final String id; // 생성 후 변경 불가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User(String id, String password) {
this.id = id;
this.password = password;
}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읽기 전용
}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password;
}
public void setPassword(String password) {
if (password.length() >= 8) {
this.password = password;
}
}
}
실제 개발 현장에서는, 캡슐화를 통해 안정적이고 유연한 코드 구조를 만들 수 있고, 팀 협업 시 발생하는 충돌도 줄일 수 있습니다.
캡슐화는 자바 입문자가 반드시 이해하고 연습해야 할 객체지향의 핵심 원리입니다. 단순히 변수 숨기기만이 아니라, 데이터 보호, 코드 유연성, 유지보수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지금부터는 클래스를 만들 때 무조건 private + getter/setter
패턴을 적용해 보세요. 실력 있는 자바 개발자로 가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EasyIT: 용어 풀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전공자도 이해하는 프로그램 vs 프로세스 (0) | 2025.08.05 |
---|---|
프론트엔드 초보자도 이해하는 V8 구조 (초보자, 자바스크립트, V8) (0) | 2025.07.27 |
UML vs ERD vs DFD 언제, 왜 쓰는가? (용도별 비교, 도식화 도구) (0) | 2025.07.27 |
[쉽게 설명한 IT 용어] Jenkins·Docker·Nexus란? (0) | 2025.07.26 |
IT 신입도 이해하는 A/B 테스트, 전처리, AutoML (0)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