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s IT Story
비전공자도 이해하는 프로그램 vs 프로세스 본문
목차
컴퓨터나 개발에 익숙하지 않은 비전공자에게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는 헷갈리기 쉬운 개념입니다. 겉보기엔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컴퓨터가 작동하는 방식에 있어 중요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T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차이와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고, 일상 속 예시를 통해 개념을 구체화합니다.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프로그램’은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설치한 앱이나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좀 더 정확 하게는, 디스크(하드디스크, SSD 등)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코드 묶음입니다.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실행 명령을 내리기 전까지는 단지 저장된 파일일 뿐, 아무 작업도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엑셀(Excel) 프로그램은 C드라이브 안에 설치되어 있는 `.exe` 파일 형태로 존재하며, 이를 실행하지 않는 한 시스템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처럼 프로그램은 정적인(Static) 형태의 소프트웨어 구성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특징:
-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
- 실행 전까지는 비활성 상태
-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음
- 하나의 프로그램은 여러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음
비유하자면, 프로그램은 요리 레시피에 해당합니다. 어떤 재료를 어떻게 조리할 것인지 순서대로 정리된 문서입니다. 단, 레시피는 요리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그냥 정보일 뿐입니다.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프로세스(Process)는 실제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입니다. 즉,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더블 클릭하거나 명령어로 실행하면, 운영체제가 해당 프로그램의 코드를 메모리에 올리고, 필요한 자원을 할당한 뒤 프로세스라는 독립된 작업 단위를 생성합니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OS)에 의해 관리되며, CPU 시간, 메모리 공간, 파일 입출력 등 다양한 자원을 사용합니다.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각각은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어 서로의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프로세스의 특징:
- 실행 중인 프로그램 상태
-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짐
- 운영체제가 할당한 자원을 사용
- 종료되면 메모리에서 사라짐
비유하자면, 프로세스는 레시피에 따라 실제로 요리를 하고 있는 요리사입니다. 재료를 준비하고, 불을 켜고, 조리를 진행하면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프로그램 vs 프로세스, 실제 사례로 이해하기
많은 사람들이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를 혼용하지만, 핵심 차이는 정적인 파일과 동적인 실행 상태라는 점에 있습니다. 아래 실제 사례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예시 1: 크롬 브라우저
프로그램: `chrome.exe`라는 실행 파일
프로세스: 실행된 후 각 탭마다 별도로 생성된 크롬 프로세스
예시 2: 카카오톡
프로그램: 설치된 카카오톡 실행 파일
프로세스: 실행 시 메모리에서 동작하며 메시지 수신, 파일 전송 등 다양한 기능 수행
비전공자를 위한 핵심 요약:
항목 | 프로그램 | 프로세스 프로세스 |
상태 | 실행 전 | 실행 중 |
위치 | 디스크(파일 시스템) | 메모리(RAM) |
개수 | 하나 | 여러 개 가능 |
실행 여부 | 사용자가 실행 전까지는 정지 상태 | OS에 의해 실행되며 작업 수행 중 |
예시 | word.exe | 문서 작성 중인 워드 프로세스 |
프로그램은 실행되지 않은 코드 묶음이며, 프로세스는 그 코드가 메모리에서 실행되어 작업을 수행 중인 상태입니다. 비전공자라도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면 컴퓨터 구조에 대한 기본 개념을 정확히 잡을 수 있고, 문제 해결 능력도 향상됩니다. 이제부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이건 어떤 프로세스로 작동하고 있을까?’라는 시각으로 컴퓨터를 바라보세요!
'EasyIT: 용어 풀어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초보자도 이해하는 V8 구조 (초보자, 자바스크립트, V8) (0) | 2025.07.27 |
---|---|
UML vs ERD vs DFD 언제, 왜 쓰는가? (용도별 비교, 도식화 도구) (0) | 2025.07.27 |
[쉽게 설명한 IT 용어] Jenkins·Docker·Nexus란? (0) | 2025.07.26 |
IT 신입도 이해하는 A/B 테스트, 전처리, AutoML (0) | 2025.07.21 |
AI모델링 핵심 용어 비교 (EDA, CDA, 모델) (0)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