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반응형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바로가기

Jin's IT Story

[쉽게 설명한 IT 용어] 레거시 코드란 무엇인가 본문

EasyIT: 용어 풀어쓰기

[쉽게 설명한 IT 용어] 레거시 코드란 무엇인가

JinBytes 2025. 8. 10. 00:24

목차


    반응형

    모래빛 흐름 속에서 과거의 흔적이 현재와 연결되는 코드의 여정

     

     IT 업계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용어 중 하나가 ‘레거시 코드’입니다. 하지만 이 단어가 의미하는 바와 실제로 현장에서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지, 또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는 비전공자나 초보 개발자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레거시 코드의 정의, 특징, 그리고 관리 방법을 쉬운 예시와 함께 풀어봅니다.

    레거시 코드의 정의와 특징

     ‘레거시(legacy)’는 원래 ‘유산’이라는 뜻이지만, IT에서는 오래된 시스템이나 코드를 가리킵니다.

     단순히 오래되었다는 것만으로 레거시라고 부르진 않습니다. 유지보수가 어렵거나, 최신 기술과 호환이 잘 안 되거나, 코드를 작성한 사람이 이미 회사를 떠나 내부 구조를 알기 어려운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2000년대 초반에 만든 프로그램이 여전히 회사의 핵심 업무에 사용되고 있지만, 해당 프로그램을 만든 개발자가 이미 없고, 코드 설명도 부족하다면 이는 전형적인 레거시 코드입니다.

     

    레거시 코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서 부족: 코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이 부족함
    • 기술 부채: 새로운 기능 추가나 수정 시 위험과 비용이 큼
    • 호환성 문제: 최신 운영체제나 라이브러리와 잘 맞지 않음

     이러한 이유로 레거시 코드는 개발팀에 부담을 주고, 유지보수 속도를 떨어뜨립니다.

    레거시 코드가 발생하는 이유

     레거시 코드는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변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합니다.


     첫째,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몇 년 전만 해도 최신 기술이었던 것이, 오늘날에는 구식으로 여겨집니다.


     둘째, 사업 환경 변화로 인한 요구 사항 증가입니다. 처음에는 간단한 프로그램이었지만, 회사의 성장과 함께 복잡한 기능이 덧붙여지고, 구조가 점점 엉키게 됩니다.


     셋째, 인력 교체와 지식 단절입니다. 원래 개발자가 떠난 후, 새로운 개발자가 기존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이처럼 레거시 코드의 발생 원인을 알면, 향후 개발 시 코드 품질 유지와 문서화를 얼마나 중요하게 다뤄야 하는지 깨닫게 됩니다.

    레거시 코드 관리와 개선 방법

     레거시 코드를 완전히 새로 만드는 ‘리팩터링’은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시간이 많이 들고 위험 부담이 큽니다. 그래서 보통은 점진적인 개선 전략을 사용합니다.

    • 코드 분석 도구 활용: 코드 품질과 구조를 분석해 개선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 테스트 코드 작성: 기존 기능이 깨지지 않도록 작은 단위 테스트부터 도입합니다.
    • 모듈화: 독립적인 부분부터 코드 구조를 분리해 개선합니다.
    • 문서화: 코드의 목적과 동작을 문서로 남겨 향후 유지보수를 쉽게 합니다.

     예를 들어, 오래된 결제 시스템의 보안 모듈만 먼저 교체하고, 이후에 UI나 기능을 단계적으로 개선하는 식입니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 다운이나 업무 중단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개선할 수 있습니다.

     

     레거시 코드는 단순히 ‘낡은 코드’가 아니라, 회사와 시스템의 역사이자 기술 부채의 상징입니다. 이를 무조건 없애는 것보다, 위험과 가치를 모두 고려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코드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점진적인 개선과 문서화를 통해 레거시를 미래 자산으로 전환하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