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evBasics: 개발 개념 기초 다지기 (66)
Jin's IT Story
웹 접근성 표준인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는 ‘누구나(장애인 포함) 디지털 콘텐츠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술적 권고문서입니다. W3C(Web Accessibility Initiative, WAI)에서 만들고 유지하며, 원칙(Perceivable·Operable·Understandable·Robust), 성공기준(success criteria), 적합성 수준(A, AA, AAA)으로 구성됩니다. WCAG는 권고문이지만 많은 국가에서 법·지침으로 채택되어 공공·민간 서비스의 필수 준수 기준으로 자리잡았습니다.WCAG란 무엇인가 — 목적·구조·적합성 개념WCAG의 목적은 웹(및 디지털 콘텐츠)을 다양한 장애(시각·청각·인지·운동 등)를 가..
UX/UI ISO 표준의 의의와 제정 배경사용자 경험(UX)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단순한 디자인 감각이 아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에 따라 발전해왔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마련한 것이 바로 국제표준화기구(ISO)와 ISO/IEC 공동위원회입니다. ISO 9241 계열 문서와 ISO/IEC 25010, ISO/IEC 40500 등은 UX/UI를 정의하고, 설계·평가 방법을 규정하며, 접근성과 사용성의 국제적인 기준을 제공합니다. ISO 문서는 전 세계 수십 개국이 합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특정 기업의 가이드라인보다 훨씬 보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특히 디지털 서비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제공되는 오늘날, UX/UI ISO 표준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경쟁력을 좌..
SOLID 원칙이 중요한 이유자바(Java)를 포함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프로젝트가 커질수록 코드 구조가 복잡해지고, 새로운 요구사항이나 기능 추가가 발생할 때 기존 코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대표적인 설계 철학이 바로 SOLID 원칙입니다. SOLID는 다섯 가지 원칙의 앞 글자를 모은 약어로, 그중에서도 단일 책임 원칙(SRP)과 개방-폐쇄 원칙(OCP)은 자바 개발자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개념입니다. 본 글에서는 SRP와 OCP가 무엇인지, 각각의 개념과 자바 코드에서의 적용 예시,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심도 있게 살펴봅니다. 단일 책임 원칙(SRP)과 개방-폐쇄 ..
인터프리터는 어떻게 코드를 ‘바로’ 실행할까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별도의 설치형 바이너리로 미리 컴파일하지 않고, 실행 시점에 해석하여 즉시 동작시키는 런타임입니다. 많은 현대 언어가 “인터프리터+바이트코드+JIT(Just-In-Time)”을 조합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 모델은 빠른 개발 사이클, 이식성, 풍부한 디버깅 경험을 제공합니다. 본 글은 인터프리터 언어의 실행 과정과 내부 원리를 단계별로 설명하고, 대표 언어·런타임의 특징과 2025년 현재의 동향까지 정리합니다.인터프리터의 동작 원리, 실행 파이프라인, 언어/런타임 트렌드1) 파이프라인 개관—소스에서 실행까지일반적인 인터프리터 실행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렉싱(토크나이징): 소스 문자열을 토큰 스트림으로..
왜 지금도 Docker인가Docker(도커)는 “한 번 만들면 어디서나 동일하게 실행”이라는 개발자의 오랜 숙제를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실행 단위로 해결한 대표적인 플랫폼입니다. 운영체제마다 달라지는 라이브러리, 배포 환경의 차이, 서버 증설 시의 불일치 같은 문제를 이미지로 고정하고, 컨테이너로 격리 실행함으로써 DevOps 파이프라인 전 구간을 단순화했습니다. 오늘날 쿠버네티스 시대에도 개발용 빌드·패키징의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고, 소규모 서비스부터 대규모 마이크로서비스까지 폭넓게 채택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Docker의 탄생 배경과 역사적 전개, 개념과 내부 원리, 실무 활용 방법과 사례를 정제된 순서로 설명합니다. Docker의 탄생과 역사, 개념과 핵심 기술, 활용 방법 및 사례1) 탄생..
인터프리터 언어, 성능의 기준을 다시 묻다인터프리터 언어는 빠른 개발과 유연한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래밍 도구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능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인터프리터 언어는 종종 컴파일 언어에 비해 느리다는 인식이 존재합니다. 실제로 속도, 확장성, 활용 분야에 따라 각 언어의 특성과 한계는 분명히 다르며,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기술 선택의 핵심입니다.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언어인 파이썬, 자바스크립트, 루비를 중심으로 성능을 비교하고, 각 언어가 어떤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는지 분석합니다. 속도 비교: 실행 성능과 최적화 기술의 발전인터프리터 언어는 코드 실행 시 한 줄씩 해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컴파일 언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습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