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s IT Story

UX/UI ISO 표준 총정리: 최신 동향과 적용 사례 본문

DevBasics: 개발 개념 기초 다지기

UX/UI ISO 표준 총정리: 최신 동향과 적용 사례

JinBytes 2025. 9. 7. 20:05

목차


    반응형

    UX/UI ISO 표준을 상징하는 네 가지 아이콘: 문서 연혁, 참여 국가, 표준 문서, 준수 웹사이트.

    UX/UI ISO 표준의 의의와 제정 배경

    사용자 경험(UX)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단순한 디자인 감각이 아닌,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준에 따라 발전해왔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마련한 것이 바로 국제표준화기구(ISO)와 ISO/IEC 공동위원회입니다. ISO 9241 계열 문서와 ISO/IEC 25010, ISO/IEC 40500 등은 UX/UI를 정의하고, 설계·평가 방법을 규정하며, 접근성과 사용성의 국제적인 기준을 제공합니다.

     

    ISO 문서는 전 세계 수십 개국이 합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특정 기업의 가이드라인보다 훨씬 보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이 됩니다. 특히 디지털 서비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제공되는 오늘날, UX/UI ISO 표준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주요 UX/UI ISO 표준, 최신 개정 동향 및 참여 국가

    ISO/TC 159/SC 4: 참여 구조 및 한국의 역할

    ISO UX/UI 표준은 ISO/TC 159 『인간공학』 산하 SC 4 『인간-시스템 상호작용』 위원회에서 개발됩니다. 평균 30~40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P-member 및 O-member 구조이며, 사무국은 독일 DIN이 담당합니다. 우리나라는 한국표준협회(KSA)를 통한 P-member로 활동하며, 문서 검토 및 투표에 참여할 권한을 가집니다.

    문서별 개정 연혁 및 최신 동향

    • ISO 9241-210 (2019 개정): ISO 13407 → 2010 → 2019, HCD 프로세스 정립.
    • ISO 9241-11 (2018 개정): 사용성 정의를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로 개정.
    • ISO 9241-110 (2020 개정): 사용자 참여 원칙(Engagement) 추가, 상호작용 원칙 강화.
    • ISO/IEC 25010 (2023): 품질 특성 모델 최신화, 사용성 포함 다양한 품질 속성 통합.
    • ISO/IEC 40500 (2012): WCAG 2.0 ISO 표준, 이후 WCAG 2.1/2.2 반영 정책과 연결.
    • 기타 확장: ISO 9241-220 (조직 HCD), 9241-221 (HCD 평가 모델), 9241-920/910 (햅틱 인터랙션)등 추가 개발 중.

    실무적 가치

    한국도 P-member 참여 국가로서 ISO UX/UI 논의에 참여하며, 국내 UX 리서처 및 기업이 표준 초안에 접근해 국내 실무 적용 전략을 미리 준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 대응과 디자인 품질 확보의 핵심 자산입니다.

     

    UX/UI ISO 표준의 실제 적용 사례

    • 영국 GOV.UK: WCAG 2.2 AA 수준 접근성 준수 공표 및 서비스별 접근성 성명서 공개.
    • GOV.UK Design System: ISO 9241-110 상호작용 원칙 기반의 컴포넌트 설계.
    • 캐나다 연방 정부: WCAG 2.1 AA 준수 의무화 및 사람 중심 설계 프로세스 정책 반영.
    • 국내 금융·공공기관: 웹 접근성 지침에 따라 WCAG 2.1 기반 접근성 준수.

    UX/UI ISO 표준 활용 전략과 실무 적용 방법

    1. 사용성 평가 지표 수립 (ISO 9241-11)

    목적: 사용성을 측정 가능한 KPI로 정의하여 개선 우선순위를 정하고 성과를 검증합니다.

    • 단계: 핵심 과업 추출 → 맥락 정의 → 지표(효과성/효율성/만족도) 선정 → 목표값 설정 → 측정계획 수립 → 대시보드 구축
    • 권장 지표: 과업 성공률, 평균 과업 시간, 오류율, SUS/CSAT
    • 산출물: 과업 정의표, 테스트 스크립트, KPI 대시보드

    2. 사람 중심 설계(HCD) 프로세스 적용 (ISO 9241-210)

    목적: 사용자 요구를 제품 개발 전 과정에 통합하여 반복적으로 검증·개선합니다.

    • 단계: HCD 계획 → 맥락 조사 → 요구 정의/페르소나 → 프로토타이핑 → 평가 → 의사결정 기록
    • 산출물: HCD 계획서, 조사 보고서, 페르소나, 테스트 보고서

    3. 상호작용 원칙 → 컴포넌트 체크리스트 (ISO 9241-110)

    목적: 추상적 원칙을 개발·디자인 산출물에서 검증 가능한 체크리스트로 전환합니다.

    • 체크 샘플: 자기설명성(명확한 라벨), 오류 허용성(입력 검증), 제어가능성(undo), 학습 용이성(온보딩)
    • 적용: 디자인 시스템 문서화, PR 템플릿, QA 체크리스트에 통합

    4. 품질 관리 체계 정렬 (ISO/IEC 25010)

    목적: UX 요구를 품질 특성(NFR)으로 전환해 테스트·운영까지 추적 가능하게 합니다.

    • 단계: UX 요구 → 품질 속성 매핑 → NFR 작성 → 추적 매트릭스 구축 → 모니터링 및 SLO 설정
    • 산출물: NFR 문서, 추적 매트릭스, 모니터링 대시보드

    5. 접근성 준수 증빙과 성명서 공개 (ISO/IEC 40500 & WCAG)

    목적: 접근성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개선 과정을 문서화하여 대외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 단계: 목표 레벨 설정(WCAG 2.2 AA 권장) → 접근성 성명서 작성 → 자동·수동 테스트 → 우선순위에 따른 개선 → 정기적 재검증
    • 검증 방법: 자동 툴 + 키보드/스크린리더 수동검사 + 보조공학 사용자 테스트

    UX/UI ISO 표준은 글로벌 경쟁력의 핵심

    UX/UI ISO 표준은 단순한 형식적 규범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의 질을 보장하고 글로벌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실질적인 도구입니다. 실제 서비스 사례에서 확인했듯이, 공공기관은 이미 WCAG 기반 접근성 준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민간 기업 역시 국제 기준을 기반으로 품질 관리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UX/UI ISO 표준은 최신 기술·디바이스·사용자 환경에 맞춰 지속적으로 개정될 것이며, 이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조직이 디지털 시대의 승자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