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7 (62)
Jin's IT Story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 보면 “V8 엔진”이라는 단어를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이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초보자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방식과 V8 엔진의 기본 구조, 작동 원리를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립니다. 개발을 시작하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기초 지식입니다.V8이란 무엇인가요? V8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제로 실행시켜 주는 엔진입니다. 우리가 웹 페이지에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는 텍스트일 뿐인데, 이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해 주는 것이 바로 엔진이고, 그중에서도 V8은 구글 크롬과 Node.js에서 사용되는 가장 유명한 자바스크립트 엔진입니다. 쉽게 말하면,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우리가 작성한 레시피이고, V8은 그 레시..

IT 시스템을 설계할 때 자주 등장하는 UML, ERD, DFD는 각각 목적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도식화 도구의 개념, 쓰임새, 차이점을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합니다. 설계와 기획 단계에서 어떤 도구를 언제 써야 하는지 헷갈렸다면, 이 비교 정리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UML – 시스템 구조와 행위를 시각화하는 언어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시각화하는 설계 언어입니다. 즉, ‘어떤 구성 요소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UML은 다양한 다이어그램 유형으로 구성되며, 시스템 개발의 거의 모든 단계를 문서화할 수 있습니다.클래스 다이어그램: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클래스 간 관계를 보여줍..

Jenkins, Docker, Nexus는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 자동화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개발 비전문가 입장에서는 이 용어들이 추상적이고 어렵게 느껴지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도구의 개념과 역할을 실제 예시와 함께 설명해, 개발 협업에서 이 도구들이 왜 중요한지 비개발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Jenkins – 자동화된 빌드와 테스트의 중심 Jenkins(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해 주는 CI(지속적 통합) 도구입니다. 간단히 말해,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하고 저장소(Git 등)에 올리면, Jenkins가 자동으로 코드를 빌드하고(컴파일), 테스트를 실행하며, 오류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웹사이트에서 ..

CI/CD는 개발·운영 자동화의 핵심 개념입니다. 하지만 용어 자체가 어렵고 추상적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비전문가도 이해할 수 있도록 CI(지속적 통합), CD(지속적 배포/전달), 파이프라인이 무엇인지 쉽게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누구나 DevOps 흐름을 이해하고, 협업과 자동화의 기반을 갖출 수 있습니다.지속적 통합(CI)이란? CI(Continuous Integration)는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를 하나의 중앙 저장소에 자주, 반복적으로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과거에는 개발자들이 각자의 컴퓨터에서 코드를 만들고, 일정 기간 후에 한 번에 통합했기 때문에 충돌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CI를 통해 하루에도 여러 번 소규모로 코드를 통합하면, 오류를 빠르게 발견하고 수정할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는 제조현장의 생산 관리와 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 시스템입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SaaS MES가 빠르게 확산되며 전통 MES와의 차이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시스템의 구조적 특징, 도입 방식, 장단점을 비교하여, 기업이 어떤 솔루션을 선택해야 할지 명확하게 안내합니다.전통 MES 시스템의 구조와 특성 전통 MES는 보통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으로 구축되며, 자체 서버에 설치해 운영되는 시스템입니다. 기업 내부의 IT 인프라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며, 고도로 커스터마이징된 환경에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보안성과 맞춤화입니다. 생산 라인의 특수성에 맞게 세밀한 설정이 가능하고, 외부 인터넷 ..

ERP와 MES는 모두 제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핵심 시스템이지만, 역할과 적용 범위는 분명하게 다릅니다. 많은 기업이 이 두 시스템을 혼동하거나 중복 도입하면서 비효율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ERP와 MES의 도입 목적, 기능 차이, 그리고 실제 운영 방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명확히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도입목적: ERP와 MES는 왜 필요한가? 기업이 ERP와 MES를 도입하는 이유는 전혀 다릅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전사적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회계, 인사, 구매, 재고, 생산계획 등 경영 전반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경영자와 의사결정권자에게 정확한 수치를 제공해 전략적 판단을 가능하게 하며, 부서 간 데이터 흐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