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EasyIT: 용어 풀어쓰기 (23)
Jin's IT Story
엔트리 포인트란 무엇인가?IT나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라는 용어는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개념입니다. 직역하면 “진입 지점”이라는 뜻을 가지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가장 먼저 호출되는 시작 지점을 의미합니다. 즉, 컴퓨터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어디서부터 명령을 수행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프로그램을 더블클릭하거나 명령어로 실행하면, 운영체제는 내부적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엔트리 포인트를 찾아가 그 부분부터 코드를 실행하기 시작합니다. 이 개념은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 존재하며, C언어의 main() 함수, 자바(Java)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메서드, 파이썬(P..
현대 사회에서 IT는 단순한 기술 영역을 넘어 일상생활, 비즈니스, 교육, 의료 등 거의 모든 분야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IT용어’라는 말을 들으면 어렵게 느끼거나, 개발자나 전문가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라고 생각합니다.그러나 IT 용어는 실제로 매우 논리적이고, 기본 개념만 이해해도 복잡한 기술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 프로그래밍 등 IT 분야 전반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용어들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이를 통해 초보자도 IT 개념의 큰 틀을 이해하고, 실무나 공부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컴퓨터와 시스템 관련 기본 용어먼저 IT의 근간이 되는 컴퓨터 시스템과 관련된 주요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하드웨어(Har..
데이터베이스는 IT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하지만 컴퓨터나 프로그래밍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다소 어렵고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PostgreSQL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 레코드, 쿼리 등 낯선 용어들로 가득하죠. 이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도서관에 비유해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PostgreSQL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풀어보며,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어떻게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지 알아봅니다.데이터베이스는 도서관이다데이터베이스를 처음 접할 때 가장 좋은 비유는 바로 도서관입니다. 도서관은 수많은 책을 체계적으로 보관하고,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간입니다. 데이터베이스도 ..
데이터베이스는 오늘날 거의 모든 IT 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웹 서비스, 모바일 앱, 기업용 소프트웨어 등 데이터가 존재하는 모든 환경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관리하는 것이 필수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입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기 위한 언어이며, 그 안에는 기능에 따라 여러 명령어들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세 가지가 바로 DDL, DML, DCL입니다. 이들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다루고 제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각각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개발자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심지어 데이터 분석가에게도 필수적인 지식입니다.DDL: 데이터베이스 구조..
오늘날 인터넷과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우리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검색 엔진, SNS, 온라인 쇼핑몰, 동영상 플랫폼 등 어디에서든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이렇게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처리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맵리듀스(MapReduce)’입니다. 하지만 이름만 들어서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맵리듀스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왜 중요한지 초보자와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맵리듀스란 무엇인가?맵리듀스는 구글에서 처음 개발한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아주 큰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나눠서 동시에 처리하고, 그 결과를 합쳐서 하나의 답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름 그대로 ‘맵(Ma..
프로그램이나 앱을 만들거나 운영하다 보면, 잘 돌아가는지 확인하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원인을 찾기 위해 기록을 남깁니다. 이런 기록을 로그(log) 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모든 로그가 다 똑같은 건 아니고, 상황에 따라 중요한 것도 있고 덜 중요한 것도 있습니다. 그래서 로그에는 레벨(level) 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즉, 로그 레벨은 “이 로그가 얼마나 중요한가, 얼마나 심각한가”를 구분하는 표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로그 레벨이 필요한 이유로그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계속 쌓이는 기록이기 때문에, 아무 기준 없이 다 모아두면 너무 많아져서 필요한 내용을 찾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집안일을 기록한다고 하면 “오늘 아침에 일어남, 세수함, 밥 먹음” 같은 사소한 것도 있고 “집에 전기가 나감”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