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s IT Story
자바 초보 개발자를 위한 완전이진트리와 배열 본문
목차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자료구조는 다소 낯설고 어려운 개념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완전이진트리와 배열, 그리고 자바에서 자주 사용하는 ArrayList는 초보 개발자가 이해해야 할 핵심 주제입니다.
이 글에서는 자바 초보 개발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완전이진트리와 배열의 개념, 두 구조가 가지는 상관관계, 그리고 ArrayList가 어떤 식으로 이들과 연결되는지를 차근차근 설명하겠습니다.
완전이진트리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완전이진트리는 이진트리(Binary Tree)의 한 종류로, 모든 레벨이 꽉 차 있거나 마지막 레벨만 왼쪽부터 차례대로 노드가 채워져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 구조는 배열로 표현하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왜냐하면 루트 노드가 인덱스 0에 위치할 때, 왼쪽 자식과 오른쪽 자식 노드의 위치가 명확하게 수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덱스 i
에 위치한 노드의 왼쪽 자식은 2i + 1
, 오른쪽 자식은 2i + 2
라는 규칙을 따릅니다. 이렇게 명확한 규칙은 자료구조를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자바 초보 개발자가 이 규칙을 이해하면, 이후 힙(Heap) 구조나 우선순위 큐 같은 고급 자료구조를 학습할 때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배열과 완전이진트리의 관계를 알고 있으면 "왜 힙은 배열로 구현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하게 답할 수 있습니다.
배열과 ArrayList의 차이와 연결성
배열은 고정된 크기를 가진 연속적인 메모리 구조입니다. 한 번 크기를 지정하면 그 이후에는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 개수가 유동적인 상황에서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반면, 자바의 ArrayList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사용하지만, 데이터가 추가될 때 자동으로 크기를 확장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즉, ArrayList는 배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크기 제한이라는 단점을 보완한 자료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바 초보 개발자 입장에서는 ArrayList를 자주 쓰게 되지만, 그 내부에서 배열이 동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완전이진트리를 구현할 때, ArrayList를 활용하면 동적으로 크기를 조절하면서 트리 구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삽입이나 삭제 시 자동으로 배열이 확장되거나 줄어들 수 있어, 초보 개발자가 직접 메모리 크기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바에서 완전이진트리 구현하기
완전이진트리를 자바에서 구현할 때, ArrayList를 이용하면 실제로 매우 간단하게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루트 노드는 항상 인덱스 0에 두고, 자식 노드는 2i + 1
과 2i + 2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루트에 값 10을 넣고 왼쪽 자식에 20, 오른쪽 자식에 30을 넣는다면 ArrayList의 상태는 [10, 20, 30]
이 됩니다. 새로운 노드를 왼쪽 자식의 왼쪽에 추가한다면 [10, 20, 30, 40]
이 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구현하면 탐색, 삽입, 삭제가 모두 배열 인덱스를 기반으로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초보 개발자가 자바의 ArrayList와 이 규칙을 이해한다면, 완전이진트리의 구현뿐 아니라 이후 힙 정렬, 우선순위 큐, 그래프 탐색 같은 응용 알고리즘에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완전이진트리와 배열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자바 ArrayList는 이를 초보 개발자가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배열의 인덱스 규칙을 이해하면 완전이진트리 구조를 직관적으로 그릴 수 있고, ArrayList를 통해 이를 유연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자료구조 학습의 초입에서 이 세 가지 개념을 확실히 이해한다면, 자바 프로그래밍 실력은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작은 예제를 직접 구현해 보면서 이 관계를 체득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DevBasics: 개발 개념 기초 다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아키텍처 설계 팁 (안정성, 확장성, 보안) (0) | 2025.08.17 |
---|---|
개발자를 위한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DevOps, 클라우드) (0) | 2025.08.16 |
아카이브 (백업, 장기보관, 보안) (0) | 2025.08.13 |
프로그램 vs 프로세스 vs 스레드 완벽 비교 (0) | 2025.08.12 |
노드 vs 객체 차이점 완벽 비교 (0) | 2025.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