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s IT Story
요즘 개발자가 보는 캡슐화의 중요성 본문
목차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의 4대 특성 중 하나인 캡슐화(Encapsulation)는 요즘 개발자들에게 다시금 주목받는 개념입니다.
단순히 변수에 접근제어자를 붙이는 것을 넘어, 유지보수성과 보안성,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원리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자바(Java)를 중심으로 캡슐화의 개념과 실제 코드에서의 활용, 그리고 현대 개발 흐름 속에서 캡슐화가 갖는 중요성을 짚어보겠습니다.
캡슐화란 무엇인가?
정보 은닉과 접근 제어의 시작점
캡슐화(Encapsulation)는 객체지향 언어에서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하나로 묶고, 객체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개념입니다. 주로 클래스 내부의 필드를 private
으로 선언하고, 해당 값에 접근할 수 있는 getter
와 setter
메서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다루도록 구성합니다.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캡슐화의 목적:
- 내부 구현 로직을 숨김으로써 보안성 확보
- 코드 수정 시 외부 영향 최소화
- 객체 간 인터페이스 명확화
- 디버깅 및 테스트 용이성 향상
자바에서의 캡슐화 활용 방법
접근제어자와 메서드를 이용한 구조적 설계
자바는 캡슐화 구현에 매우 적합한 언어입니다. 클래스 수준에서 private
, protected
, public
, default
같은 접근 제어자를 활용해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에 대한 접근 범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캡슐화 구현 3단계:
- 모든 필드(변수)를 private으로 선언
- 필요한 경우에만 getter/setter 제공
- 불필요한 setter는 제거하고, 읽기 전용으로 제공
public class Product {
private String productName;
private int price;
public Product(String productName, int price) {
this.productName = productName;
this.price = price;
}
public String getProductName() {
return productName;
}
// price는 읽기 전용
public int getPrice() {
return price;
}
}
Lombok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Getter
, @Setter
등을 통해 캡슐화를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요즘 개발자들이 다시 캡슐화를 강조하는 이유
무분별한 공개보다 안전한 설계가 중요해진 시대
최근에는 오픈 API, 마이크로서비스, 대규모 협업 구조가 늘어나면서, 객체 간의 경계와 책임을 명확히 구분하는 설계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캡슐화는 실질적인 시스템 안정성 확보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요즘 개발 트렌드에서 캡슐화가 중요한 이유:
- 협업 시 혼선 방지
- 유지보수 용이
- 보안 강화
- 테스트 효율성 증가
또한 캡슐화는 SOLID 원칙 중 OCP(개방-폐쇄 원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요즘 개발자들은 단순한 getter/setter 코드보다 진정한 의미의 정보 보호와 역할 분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캡슐화는 객체지향 설계의 시작이자 핵심입니다. 단순한 변수 보호를 넘어, 객체의 독립성과 시스템의 견고함을 책임지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요즘 같은 협업 중심, 대규모 구조의 개발 환경에서는 캡슐화의 원칙을 얼마나 잘 적용하느냐가 개발자의 실력을 가르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지금 바로 자신의 코드에서 불필요하게 노출된 속성은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TechVibe: 요즘 IT는 이렇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개발자들이 주로 쓰는 Mocking 도구는? (0) | 2025.08.03 |
---|---|
최신 AI 트렌드와 데이터 스트럭쳐 (AI, 알고리즘, 자료구조) (0) | 2025.08.01 |
웹 퍼블리셔가 꼭 알아야 할 V8 개념 (2) | 2025.07.27 |
전통 MES와 SaaS MES 비교 (MES, SaaS, 차이점) (0) | 2025.07.26 |
한국 제조업 ERP·MES (산업특성, 도입현황, 활용도) (0) | 2025.07.24 |